[논문리뷰] Searching for Best Practices in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업데이트:

개요

jpg
출처: https://www.glean.com/

이번 포스팅은 AI application 기술로 급격히 발전하고 있는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기술의 최신 논문(Wang et al.)에 대한 리뷰이다. 연구에서는 RAG Workflow의 모듈별 상세한 정리와 각 모듈에 대한 다양한 실험을 통해 성능 비교가 수행된다.
Data Science 분야에서는 초기에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산발적으로 인사이트들이 누적된 이후, 그래서 뭘 써야하는데? 라는 물음에 대한 답을 정리해주는 논문이 나오기 마련이다. 이 논문이 바로 그런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

RAG 기술은 기존 LLM 활용한 AI Application을 만드려고 할때 생기는 한계들로부터 파생된다.

  1. Hallucination 문제
    •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보다는 자연스러운 문장 생성에 초점이 맞춰져있다.
    • 부정확한 정보는 기업 도입에 리스크가 크다.
  2. 지식의 편향 문제
    • LLM이 학습된 데이터는 최신 정보나 특정 도메인의 정보를 제공하기 어렵다.
    • 기업 도입 측면에서는 신규 데이터에 대한 지속 투입이 필요하다.
  3. 비용 문제
    • LLM의 Fine-tuning이 가능한 기업이 얼마나 있을까

따라서 LLM이라는 거대한 가중치를 건드리지 않고도 효율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AI application을 기업 내부에 도입하기 위한 고민이 필요해진다. 이러한 Background를 인지한 상태에서 논문을 리뷰해보기로 하자.


1. Introduction

💡 Key point

  1. RAG Proecss를 상세하게 정리하고 기존 접근방법들을 정리
  2. 다양한 실험 환경에서 performance와 efficiency 비교
  3. Multimodal retrieval 전략에 대한 잠재력 논의

RAG workflow

png

  1. query classification
    • Retrieval이 필요한 질문인지 여부를 분류
  2. retrieval
    • 질문과 유사한 정보를 DB에서 가져오기
    • DB는 어떻게 구성해야 되는데?
      • (2-1) Chunking - 잘 분할하기 위한 방법을 결정하고
      • (2-2) Embedding - 의미를 잘 반영된 vector 생성을 위한 model을 고르고 ****
      • (2-3) Vector Database - 효율적으로 적재할 DB를 선택해야된다.
  3. reranking
    • DB에서 가져온 정보들을 질문과 관련도가 높은 순으로 정렬
  4. repacking
    • 가져온 정보들을 구조화된 정보로 재구성(더 나은 생성을 위해)
  5. summarization
    • repacking된 정보에서 Response 생성을 위해 핵심 정보만 요약(중복제거 등)
  6. Fine-tune
    • Response를 생성할 LLM의 효율적인 튜닝
  7. Evaluation
    • Response에 대한 성능 평가

위 workflow에서 각 단계 별로 세부적인 technique들을 추가해서 여러가지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여러 방법에 대한 성능 비교 및 optimal에 대한 평가를 진행한 논문은 현재까지 없었다.

💡 Contribution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RAG 테크닉들을 체계적으로 성능 비교를 해보겠다.
이를 위해 각 모듈별로 다양한 Baseline,성능 지표, 데이터셋들이 필요할 거고
결과를 기반으로 최적의 조합을 찾고 다른 방법도 제안해볼 수 있을 것임


2. Related Work

2.1. Query and Retrieval Transformation

  • 질문을 변형시켜 검색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들

    • Query2Doc, HyDE: 질문으로 pseudo-documents를 생성해서 이걸로 검색하도록 함
    • TOC: 질문을 하위 질문들로 분리시켜서 검색하고 최종 집계
  • 검색 source를 변형시켜 성능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들

    • LlamaIndex: 반대로 documents에서 pseudo-query를 생성하는 UI를 제공하고 있음

2.2. Retriever Enhancement Strategy

  • Chunking, Embedding, Reranking에 대한 성능 고도화를 위한 노력들

2.3. Retriever and Generator Fine-tuning

  • Retriever (Embedding Model + Reranking Model)의 최적화 → 검색 성능의 향상
  • Generator (LLM)의 최적화 → 답변 생성 성능의 향상


3. RAG Workflow

3.1. Query Classificaion

  • 항상 RAG를 쓸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응답 생성 시간을 증가시킴
  • Query가 들어왔을 때 RAG가 필요한지 여부만 판단해주면 됨
    • 분류 모델 활용
    • Query별로 RAG가 필요한 유형과 불필요한 유형을 Labelling
    • Example)
      • Translation 유형 - RAG 불필요
      • Summarztion 유형 - RAG 불필요
      • Search 유형 - RAG 필요
      • Suggestion 유형 - RAG 필요
      • 등등.

3.2. Chunking

  • Chunking을 위한 고려사항
    • Token-level - 가장 간단하지만 문장 본연의 의미를 해칠 수 있음
    • Semantic-level - breakpoint에도 LLM을 사용, but 비용 효율성이 낮음
    • Sentence-level - 문장 단위로 짤라서 의미 보존과 효율성도 같이 가져감
      •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

결국 문장 본연의 의미 보존과 효율성과의 균형을 잡는게 필요 (모든 task가 마찬가지임)

3.2.1 Chunk size

png

  • Trade-off
    • size가 클수록(크게 나눌수록) → 문맥 이해가 쉽지만 검색시간 등 증가
    • size가 작을수록(작게 나눌수록) → 그 반대
      • 지표를 통해 적절한 optimal point를 잡아야 함
    • Faithfulness - 답변이 hallucination이 발생했는지, Retrieval된 텍스트와 일치하는지
    • Relevancy - 질문이 Retrieval된 텍스트와 일치하는지
  • 실험 셋팅
    • LamaIndex(Framework)에서 제공하는 위 지표들 사용
    • Embedding Model: text-embedding-ada-002
    • Generation Model: zephyr-7b-alpha
    • Evaluation Model: gpt-3.5-turbo
    • Chunk Overlap: 20 tokens
    • Datasets: lyft_2021

3.2.2~3 Chinking Techniques & Embedding Model Selection

png

  • small-to-big, sliding window

    • Chunk된 블록 들 간의 관계를 담고 있도록 설계
    • Small-sized 블록은 질문(query)와 매칭되도록 하고, Larger block이 문맥 정보를 포함해서 반환하도록 구현
  • 실험 셋팅

    • Embedding Model: LLM-Embedder
    • Small-sized : 175 tokens
    • Large-sized : 512 tokens
    • Chunk Overlap: 20 tokens
    • Datasets: Lyft_2021

png

  • Embedding Model
    • 질문(Query)와 Chunk block들 간의 의미를 매칭(유사도, 관련성 등)하는데 중요한 역할
  • 실험 셋팅

    • Embedding Model: LLM-Embedder
    • Evaluation Model: FlagEmbedding
    • Datasets
      • Query: namespace-Pt/msmarco
      • Corpus: namespace-Pt/msmarco-corpus

두 모델의 성능은 비슷하지만, LLM-Embedder의 size가 3배 가볍기 때문에, 이걸로 선택!

3.2.4 Metadata Addition

  • Chunk 블록에 부가적인 정보(title, keywords, 가상의 질문 query 등)를 달아놓으면 검색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음

3.3 Vector Databases

png

  • 위와 같이 임베딩된 vector들을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고완된 DB
  • 4가지 Vector DB 유형
    • Multiple Index types: 다양한 데이터 특성에 따라 검색을 최적화할 수 있는 유연성이 존재
    • Billion-Scale vector support: 대용량 데이터셋 처리에 초점
    • Hybrid search: Vector 검색과 Keyword 검색을 결합 → 검색 정확도 향상
    • Cloud-Native capabilities: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통합 및 확장성 보장

3.4 Retrieval Methods

png

  • 검색 성능 향상을 위해 주어진 Query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변환하는 방법
    • Query Rewriting: LLM에게 Query를 입력해 개선된 Query로 반환
    • Query Decomposition: 하위 Query로 분할시켜 검색하는 방법 → 복잡함
    • Pseudo-documents Generation: Query로 가상 corpus를 만들고 가상 reponse에 대한 임베딩으로 검색하는 방법. ex) HyDE
  • 실험 Baseline(unsupervised contrastive encoder)
    • Sparse Retrieval - BM25
    • Dense Retrieval - Contriever

3.4.2 HyDE - 가상 document 별 성능비교

png

  • 가상 document를 늘리면 성능이 기본적으로 증가
  • But 지연 시간(Latency)도 증가하기 때문에 효율성이 감소함 (성능 대비 지연시간이 크게 증가)

결론: 1개의 가상 document 만으로도 충분하다!

3.4.3 Hybrid Search - Sparse & Dense Retrieval 간의 가중치 비교

\[S_{h}= \alpha \cdot S_{s} + S_{d}\]
  • α값의 조정이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 α = 0.3 선택

3.5 Reranking Methods

  • DLM Reranking: Classification 활용 (성능에 초점)
    • Reranking에 DLM 활용
    • Query-Document 간의 관련성에 대해 True/False 값으로 분류하도록 Fine tuning 됨
    • True로 분류한 Probability에 따라 순위 조정
  • TILDE Reranking: Query Likelihood (효율성에 초점)
    • Model의 vocabulary 전체에 대해 Token Probability를 계산하여 likelihood 값을 독립적으로 계산해 둠
    • Document는 이 probability 합산하여 score를 매기고, reranking을 수행함
  • 실험 셋팅
    • Models
      • monoT5 → Best Model
      • monoBERT
      • RankLLaMA
      • TILDEv2
    • Datasets : MSMARCO

3.6 Document Repacking

  • Forward: Reranking 단계에서 score가 높았던 순서로 document를 repacking함
  • Reverse: 위와 동일하며 낮았던 순서로 repacking함
  • Sides: 위아래로 repacking → 선택
    • Batch로 학습시킬 때, 중요한 정보가 애매하게 있는 것보다 처음 또는 마지막에 위치하는 것이 성능이 좋기 때문임 (Liu et al.)

3.7 Summarization

  • LLM의 generation을 효율화하기 위해 Retrieval document를 요약하는 과정
    • Extractive한 방법
      • 텍스트를 문장단위로 분할 → 중요도에 따라 score를 부여
    • Abstractive한 방법
      • 여러 document에서 정보를 통합하여 재구성 → 일관성 있는 요약 생성
  • 방법론들
    • Recomp - 유용한 문장 선택(extractive) or 여러 docs에서 정보 종합(asbtractive)
    • LongLLMLingua - Query와 관련된 핵심 정보에 집중
    • SelectiveContext - Input context에서 중복된 정보를 제거
      • non-query-based 방법임
  • 실험 셋팅
    • Datasets: NQ, TriviaQA, HotpotQA
  • Recomp (abstractive)이 가장 성능이 좋음
  • LongLLMLingua는 성능은 그다지 좋진 않지만, 해당 데이터셋에서 학습되지 않았음에도 준수한 성능이 나오는 것은 주목할 만 함

3.8 Generator Fine-tuning

png

png

  • 각각의 data로 모델들을 각각 fine-tuning하고, Validation set도 각각을 놓고 비교함
    • 초기 모델로 Llama-2 7B 사용
  • $D_{gr}$로 fine-tuning 했던 $M_{gr}$이 다른 Dataset에서도 대부분의 데이터셋에서 높은 성능을 보임
    • Mixed 해서 학습시켰을 때 robust하면서도 relevant docs도 효과적으로 활용함


4. Searching for Best RAG Practices

💡 지금까지 모듈 별로 실험한 결과에서 Best Method 후보들만 사용해서 반복 실험
⇒ Best RAG Process를 결정

  • 실험 셋팅
    • 5가지 NLP 시나리오
      • (I) Commonsense Reasoning → Acc 평가
      • (II) Fact Checking → Acc 평가
      • (III) Open-Domain QA → EM(Exact Matching), F1 score 평가
      • (IV) Multi-Hop QA → EM(Exact Matching), F1 score 평가
      • (V) Medical QA. → Acc 평가
    • RAG 평가 → Average(Faithfulness, Context Relevancy, Answer Relevancy, Answer Correctness)
  • 실험 결과

png

  • Query Classification Module
    • 성능 & 효율성에 모두 기여 (0.465 → 0.478 / 16.58 → 11.71)
  • Retrieval Module
    • Hybrid with HyDE가 성능은 best지만 Latency가 너무 증가함
    • Hybrid 혹은 Original을 권장
  • Retrieval Module
    • w/o 의 경우 대부분의 성능이 안좋음 (reranking의 중요성을 시사함)
  • Repacking Module
    • Reverse 설정이 0.560으로 우수
    • ⇒ 관련성이 높은 document를 Query에 가깝게 배치하는 것이 유리함을 보여줌
  • Summarization Module
    • Recomp가 좋지만 효율성을 우선시 한다면 제거하는 방향으로 선택


5. Discussion

실험 결과 정리

  • 성능 vs 효율성 간의 Trade-off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
모듈 성능 극대화 효율성과 균형
Query Classification O O
Retrieval Hybrid with Hyde Hybrid
Reranking monoT5 TILDEv2
Repacking Reverse Reverse
Summarization Recomp Recomp

Multimodal Extension

  • Text2Image Retrieval
    • Query(텍스트)로부터 가장 유사한 이미지를 DB에서 찾음
    • 찾으면? → 반환
    • 못찾으면? → 이미지 생성 모델을 이용해서 생성 → 반환
  • Image2Text Retrieval
    • Query(이미지)로부터 가장 유사한 이미지를 찾음
    • 찾으면? → 이미지 캡션 반환
    • 못찾으면? → image captioning 모델로부터 캡션 생성 → 반환
  • 장점?
    • 그냥 이미지나 텍스트를 생성하기만 하면 여러 문제들이 존재함
      • 부정확함, 효율성 문제, 유지 관리 문제
    • 결국 RAG를 쓰는 이유가 Multimodal한 경우에도 이점이 된다는 얘기

Limitation

  • Retriever와 generator를 동시에 학습시키는 것을 보여준 연구들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의 Fine-tuning은 Generator인 LLM에만 집중되었음
  • 각 모듈별로 대표적인 Method들을 비교하는 것이 초점을 맞추었으나, 더 다양한 chunking 기술도 있고 고려할 것은 더 많음

댓글남기기